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

[QGIS 초급] 원하는 영역만 잘라내기 (Clip) - 벡터 레이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오픈되어 있는 벡터 혹은 래스터 레이어에서 원하는 영역만 잘라내는 "Clip" 기능의 활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을 하다보면 불필요한 지도 영역들은 잘라내 버리고 필요한 영역만 보고 싶을 때가 있죠. 혹은 속성 테이블(attribute table)에 불필요한 값들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대로 된 분석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알려드릴게요. 바로 "Clip" 기능입니다. .shp 등 벡터 레이의 경우 메뉴 탭에서 Vector > Geoprocessing Tools > Clip 으로 경로를 찾으시면 되고요, .tif, .tiff, .NCD 등 래스터 레이어의 경우 Raster > Extraction > Clip Ras.. 2023. 2. 10.
[QGIS 기초] 필드 별 레이블(labels) 추가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도 상에 필드값을 나타내줄 수 있는 레이블(labels) 기능을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지도를 보면 아래 지도처럼 지역명이 텍스트로 표시되는데요, 이렇게 지역명 외에도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데이터값을 'label' 기능을 이용해 해당 공간 언저리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다음 링크에서 베트남 국경 지도를 다운로드해 adm1 파일을 QGIS에 불러와보겠습니다. https://data.humdata.org/dataset/cod-ab-vnm Properties > Symbology > Categorized 클릭, Value: ADM1_EN 선택 후 하단의 'Classify' 버튼을 눌러 베트남의 제1 행정구역 별 구분을 시각화해주었습니다. 추후 추가될 레이블의 .. 2022. 10. 12.
[QGIS 초급] Toggle editing mode의 활성화 (for 벡터 레이어 편집)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Toggle editing mode를 활성화해 벡터 레이어를 편집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Toggle editing mode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쉽게 말해 벡터 레이어를 편집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준다는 것입니다. Toggle editing mode가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면 속성 테이블의 필드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Polygon 파일을 그려줄 때 사용하는 Add Polygon feature (Ctrl + .)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럼 먼저 Toggle editing mode가 비활성화된 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 다음 링크에서 베트남 국경 지도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adm1 파일을 열어주세요. https://data.humdata.org.. 2022. 10. 12.
[QGIS 중급] 벡터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 (Attribute table) 편집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벡터(Vector)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Attribute table)을 내 입맛에 맞게 편집하는 방법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번 내용에서 다루게 될 '편집'에는 데이터 추가, 삭제, 변경 모두 포함이 됩니다. 래스터(raster) 레이어는 우리가 편집할 수 있는 속성 테이블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벡터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만 변경 가능합니다. 그럼 예시용 데이터로 다음 링크에서 베트남 국경 지도를 다운받아 QGIS에 불러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data.humdata.org/dataset/cod-ab-vnm Properties > Symbology 탭으로 이동 후 다음의 설정을 따라주세요. 심볼 유형: Graduated Value: festival 아래는 .. 2022. 10. 12.
[QGIS 기초] Refactor fields 기능을 활용하여 필드 유형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 내 필드 유형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필드란 QGIS에서 벡터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을 열었을 때 나오는 값들의 집단으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엑셀로 치면 열(Column)에 해당하는 속성으로 보시면 되는데요. 이 필드의 유형 각각을 QGIS 소프트웨어가 문자(Text), 숫자(Number) 등 다양한 유형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베트남 에너지발전소 위치 및 발전용량 CSV 파일을 불러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CSV 파일 오픈 방법 관련 내용은 지난 포스팅 참고: https://qgis-jaehee.tistory.com/5?category=586300) 다음과 같이 Ctrl+L 를 이용해 .. 2022. 10. 8.
[QGIS 중급] 공간 자료와 속성 자료의 결합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QGIS를 이용해 공간 자료와 속성 자료를 결합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공간 자료란, X, Y 좌표값이 있거나 이미 shapefile 등으로 polygonized 완료된 지도 자료를 의미하며 속성 자료는 엑셀 데이터와 같이 아직 공간화되지 않은 텍스트 기반의 자료를 의미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가진 엑셀값들이 모두 수치화된 지리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와 대응하는 공간 자료가 기존에 생성되어 있다면, 두 자료의 결합 시 생산 가능한 시각 및 분석자료가 늘어나겠죠? 바로 이 점에 주목하여 GIS 사용자들은 공간 자료와 속성 자료의 결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그 방법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서로 다른 정보가 결합하려면 먼저 두 정보..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