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짧은 생각 나눔

제47회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 쿠로가와 소야 신인상 수상소감을 듣고..

by EdgeRunner 2025. 2.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젯밤 우연히 SNS에서 보고 감명받은 영상이 있어 짧은 글을 남겨봅니다.
 
아래 첨부된 영상은 2023년 개봉한 일본 영화 <괴물>의 주연으로서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신인상을 수상한 쿠로가와 소야 군의 수상소감인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두 소년의 아름다운 사랑의 장면과 어른들의 괴물 같은 시선을 섬세하게 포착해 낸 <괴물>을 정말 인상 깊게 보기도 했습니다.
 
https://youtu.be/VcgxQ8cLfz4?si=gs2Jbm-EeAA564KI

쿠로가와 군은 영화를 찍고 나서 벌써부터 인과적/구조적 결정론과 자유의지론 사이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나를 둘러싼 일들은 내가 자라온 환경과 이 사회의 구조가 작용한 결과일까요, 나의 노력의 결과일까요? 쿠로가와 군이 언급한 운이라는 놈도 이것이 특정한 형태의 사회에서 보다 잘 작동하는 측면이 있다면, 어떤 때는 이놈을 거대구조의 부품이자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땡땡주의가 우세한 사회에서 그 주의에 맞는 땡땡한 인재가 뽑히는 것은 사회적으로 선호되지 않는 가치를 지닌 사람 입장에서는 명백한 운입니다. 혹은 그 땡땡주의 때문에 똑같은 노력을 한 사람이 너무 다수가 되어도 내가 뽑힐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 역시 그 사회가 만들어낸 운입니다.
 
하지만 이 중 무엇이 맞다 틀리다 갑론을박하는 것이 무엇 때문에 중요한가요, 이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는 게 논리적이고 일관적이기 때문에 그런가요. 어린 시절 저의 고민과 맞물린 쿠로가와 군의 고민 끝에 나온 결심이 "항상 다정한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 점이 제가 이 글을 쓰게 만든 동력입니다.

자유의지론에 힘을 실어주면 우리는 스스로도, 남에게도 늘 채찍질하며 살아야 합니다. 나 왜 더 노력 안 했을까. 나도 개천에서 용 난 거야 넌 근데 왜 그거밖에 못하니..? 노력해도 성취하지 못하면 충분히 노력하지 않은 자가 되어 루저 레이블이 따라붙습니다.

반면 인과적 결정론은 누군가에게 채찍질을 하진 않지만 우리를 눈에 띄게 성장하게 만드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자꾸 힘들었던 나의 과거에 과몰입하게 만들고 우리를 무력하게 만듭니다. 구조가 이런데 내가 뭘 어떻게 하지? 노력해도 안 바뀔 거야. 다 윤석열 때문이야 등등...

우리는 내 삶을 살 때와 바꾸고 싶은 구조가 있을 때에는 나와 우리의 자유의지를 믿어야 합니다. 하지만 타인의 삶을 바라볼 때에는 인과적 결정론과 구조의 힘을 상기해야 합니다.
'나는 어려운 환경에서 크긴 했지만 더 힘낼 수 있고 베풀 수 있어. 다수(*소수자 역시 절대적 숫자로는 다수이지요)를 힘들게 하는 사회의 이런 면은 시민운동으로 바꿔내야지! 이 사람이 이렇게 엉망으로 구는 데에는 어떤 구조적 이유가 있을 거야.'
나에게는 조금 혹독하고 남에게는 관대한 이런 비일관성이라면, 이런 이중잣대라면 세상을 더 따뜻하고 건강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이런 열정적이고 다정한 사람은 오랜 시간 저의 '추구미'였습니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그러지 못하는 순간들이 쌓여가고 있는 것 같아요. 쿠로가와 군의 너무나도 멋진 수상소감을 들으며 다시 한번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늘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고민하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괴물>을 보지 않으신 분이 계시다면 강력 추천드리며, 아래는 영상에 나오는 쿠로가와 군의 수상소감 번역문입니다. 저라면 이렇게 구구절절 설명했어야 할 말을 쿠로가와 군은 세 문장으로 간결히 표현해 주네요:


"저는 지금 두 명의 저와 싸우고 있습니다. 괴물에서의 미나토 역을 맡게 된 것이 운이라고 생각하는 저와 마치 스스로의 힘으로 해냈다고 착각하는 저의 싸움입니다. 매번 이 감정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항상 다정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반응형

댓글